불경기(stagnation)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
경기가 침체되는 상황에서 물가가 상승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그 특징상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의 최대 경계 사태이기도 하다
주 원인은 환율 혹은 유가의 대규모 변동으로 1970년대 오일 쇼크 당시 한국도 어마어마한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었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신냉전 시대로 접어 들어 우려가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가 급격한 유가 상승과 같은 공급 쇼크를 직면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리한 상황은
생산을 더 비싸게 하고 생산성을 떨어지게 하여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면서 동시에 가격을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다.
과거 사례
영국
◦ 국제유가 급등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영국은 두 차례의 스태그플레이션을 경험
∙1차 오일쇼크인 1974~1975년에 소비자물가는 16.0~24.1%나 급등하였으나 경제성 장률은
1973년 7.1%에서 1974~1975년에는 - 1.4~- 0.6%로 하락
∙2차 오일쇼크 당시에는 경제성장률이 1980~1981년 동안 - 2.1~- 1.5%로 하락하였 으며, 소비자물가는 18.0%로
큰 폭 상승
◦ 오일쇼크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인 1973~1975년 및 1980년을 전후한 기간 동안 실질주택가격 변동률은
상승폭이 크게 둔화
∙1차 오일쇼크 시기에는, 이전에 연 30%를 상회하던 주택가격상승률이 10% 이하로 낮아졌으며, 물가상승을 감안한 실질주택가격은 하락으로 전환
∙1980년을 전후한 2차 오일쇼크 시기에도 유사한 현상을 보이며 1차 오일쇼크 이후 점차 회복하고 있던 주택가격의
상승률이 크게 둔화되었으며, 1981년의 실질주택가 격은 마이너스를 기록
미국
◦ 미국도 국제유가 급등 등으로 두 차례의 스태그플레이션을 경험함
∙1차 오일쇼크로 인하여 소비자물가가 1974년 11.0%, 1975년 9.1%로 급등하였고 경제성장률은 1973년 5.8%에서 1974~1975년에는 마이너스 성장을 겪음
∙2차 오일쇼크 당시에는 1979년 3.2%이던 경제성장률이 1980년에는 - 0.2%로 하락하 였으며,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0%를 상회
◦ 오일쇼크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인 1980년을 전후한 기간 동안 경제성장률이 크 게 둔화되고 소비자물가가
급등하면서 실질주택가격은 큰 폭의 마이너스를 기록
일본
◦ 일본은 1차 오일쇼크 당시 소비자물가는 연 23.2%나 급등하였고 경제성장률은 - 1.2% 를 기록
∙2차 오일쇼크의 영향을 받은 1980년의 경제성장률은 전년의 5.5%에서 2.8%로 하락 하였으며, 소비자물가는 7.9%로
상승
◦ 일본의 지가는 매년 큰 폭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유지했으나, 스태그플레이션 시기 동 안 상승폭이 둔화되면서
1975년에는 실질지가가 마이너스를 기록
국내
◦ 한국 역시 국제유가 급등으로 인해 두 차례의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었음
∙1차 오일쇼크가 발생한 1974~1975년 중 소비자물가는 연 25% 수준으로 급등한 반 면 경제성장률은 5.9~7.2%로 하락 ∙2차 오일쇼크와 국내 정치적 불안이 맞물리면서 1980년 경제성장률은 - 1.5%로 마 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소비자물가는 28.7%나 폭등
◦ 1차 오일쇼크를 경험한 1973~1975년 사이에 실질주택가격은 하락세로 전환
∙한편 2차 오일쇼크를 경험한 1980년 전후한 기간에 지가상승이 급격히 둔화되었으 며, 실질지가지수는
1980년에 - 13.2%까지 하락
1.과거 사례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스태그플레이션 환경에서 주택을 비롯한 부동산가격 은 상승률이 크게 둔화되거나
하락하는 경향을 보임
2.주택 등 부동산은 일반재화와 달리 고가의 투자자산 성격을 가진 재화이 며, 경기침체에 따른 리스크가 높아지면
주택구매 및 투자수요가 위축
한편, 원자재가격의 상승은 분양가격 인상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주택수요 위축에 따 라 분양가격 상승은 제한적으로
나타날 것임
3.수요 위축과 건설비용의 증가로 주택공급은 감소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이즌 필 (0) | 2022.04.19 |
---|---|
2022년 미국 증시 휴장일 (0) | 2022.04.15 |
해외원화결제 차단서비스(DCC) 카드사별 내용 (0) | 2019.04.10 |
은행 / 저축은행등 최고 금리 찾는 방법 (0) | 2019.03.14 |
아파트 분양권 전매 절차 (0) | 201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