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원화결제 차단서비스(DCC)
해외거래(오프라인/온라인) 원화 결제 시 추가 수수료가 발생 될 수 있는 부담을 방지하고자
자국통화인 원화(KRW)로 결제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는 서비스입니다.
※ 차단서비스 등록 시점부터 원화(KRW)로 해외거래 발생 시 승인거절되며
달러나 현지통화로는 거래 할 수 있습니다.
해외원화결제(DCC)를 막으면 icloud 자동 결제도 막힙니다.
보통 해외 구매를 할때는 그 나라 통화 or USD 로 결제하라고 하는게 합리적이라고 합니다.
카드사별 해외원화결제
신한카드
https://www.shinhancard.com/conts/person/optional_service/DCC_sev/dcc.jsp
하나카드
https://www.hanacard.co.kr/OPY15050000N.web?schID=pcd&mID=OPY15050000N
삼성카드
https://www.samsungcard.com/personal/services/UHPPAS0500M0.jsp?tabidx=0&click=gnb_apply_lock_abroad
롯데카드
https://www.lottecard.co.kr/app/LPMAIAA_V100.lc
KB국민카드
https://card.kbcard.com/CXPRISVC0254.cms
현대카드
https://www.hyundaicard.com/cpa/co/CPACO0501_01.hc
우리카드
https://sccd.wooribank.com/ccd/Dream?withyou=CDMWC0384
시티카드
https://www.citibank.co.kr/CrdCuseCdcc9000.act?MENU_TYPE=post&MENU_C_SQNO=M1_005556
BC카드
https://www.bccard.com/app/card/ContentsLinkActn.do?pgm_id=ind0895
국민카드
https://card.kbcard.com/CXPRISVC0254.cms
체크카드도 됩니다
해외직구 많이 하시는 분들이나 페이팔 같이 해외 간편결제 충전을 카드로 하시는 분들은
지불할 화폐를 보통 USD나 경우에 따라서 현지 화폐로(영국/일본/중국 직구) 결제를 하셔야 하고,
해외 여행 시에는 KRW가 아닌 현지 화폐로 결제가 되도록 카운터에 요청을 하셔야합니다.
모바일 카드앱에서 설정이 가능한 경우도 있고, PC용 홈페이지에서만 설정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국제 카드사에서 원화 금액을 자신들이 정한 환율로 미국 달러로 환산
수수료 1% 가산하고 1센트 미만은 반올림해서 대한민국 카드사에 청구
대한민국에서는 달러 금액을 전신환 매도율로 원화로 환전
수수료 가산하고 1원 미만 절사해서 고객에게 청구
정리하자면, 카드 결제→현지 통화 금액을 고객에게 가장 불리한 환율로 원화로 환전→
수수료 3~10% 가산→국제 카드사→미국 달러로 환산→수수료 가산→대한민국 카드사→
원화로 환전→수수료 가산→고객에게 청구...
신한카드의 경우 DCC 사전차단 서비스를 등록하면 애플 앱스토어에서 지불수단으로서 카드의 등록을 거부하며
이미 등록된 카드도 DCC 사전차단 서비스를 등록하면 인앱구매가 불가능하다. 아마 앱스토어 측에서 무조건
원화로 청구를 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현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 PayPal에서도 등록하려고 하면 원화결제가 이루어져서 결제가 불가능하므로, DCC 차단 서비스를 잠깐 해제시켜줘야된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미국 증시 휴장일 (0) | 2022.04.15 |
---|---|
스테그플레이션 (1) | 2022.03.25 |
은행 / 저축은행등 최고 금리 찾는 방법 (0) | 2019.03.14 |
아파트 분양권 전매 절차 (0) | 2015.03.21 |
개인형 퇴직연금(IRP)에 대하여 (0) | 2015.03.03 |